본문 바로가기

Newly I Learned

(3)
왜 Entity를 그대로 반환하면 안 될까? – 백엔드 계층 분리의 이유 Spring 프로젝트를 시작하면 자연스럽게 마주치는 구조가 있다: Controller, Service, Repository, DTO, Entity... 처음에는 각 구성 요소의 이름은 달라도, 역할이 비슷해 보여 혼란스러울 수 있다. 특히 Entity와 DTO는 구조도 비슷하고, 필드까지 겹치는 경우가 많아 자주 혼동된다. 하지만 이 각각의 구성은 명확한 목적과 책임을 가지고 있으며, 분리해야 하는 이유도 소프트웨어 설계 원칙에 기반해 분명하게 존재한다. 이번 글에서 그 이유와 구조적 배경을 하나씩 짚어보자.처음엔 헷갈릴 수밖에 없다DTO와 Entity는 구조적으로 닮았다. 아래처럼 생겼다면, 굳이 두 개로 나눠야 하나? 하는 생각이 들 수 있다. DTOpublic class UserReq..
WebRTC와 디스코드 스트림 세션 5월 10일 토요일 GDG 코어 멤버 세미나에서 발표를 하게 됐었다. 코어멤버 LT 가기 전인데다가 과제가 몰려 급하게 하느라 살짝 압박이 있었는데 그래도 어떻게든 잘 끝내긴 했다. 다음은 그 내용이다. 전체 목차:01 Problem : 디스코드 공유 화면이 안 보여요 02 GAP : Discord의 이해 with WebRTC 03 Solution : Discord 화면공유 실패 시나리오와 복구 시나리오 04 Takeaways : 정리 및 소감, 생각해볼만한 점 01 Problem : 디스코드 공유 화면이 안 보여요문제 상황:고급 백엔드 스터디가 개강하던 날, 스터디 시작을 기다리고 있던 중이었다.멘토님이 공유한 화면 전환을 위해 자동 연결 및 로딩 중... 그러나 연결 실패...

재시도했으나 연결 실..
Newly Learned Keyword : OSSCA 체험형 프로젝트 멘티형 1차 지원 中 OSSCA 체험형에서 만난 백엔드 기술들GDG Hongik 디스코드와 운영진 활동을 하면서 오픈업 https://www.oss.kr/ 이라는 사이트를 알게 됐었다. 오픈소스SW 개발 활성화를 위해 정부에서 지원하는 단체로 오픈소스 컨트리뷰션 관련 프로젝트 교육을 열기도 한다. 작년 겨울에 오픈소스SW 라이선스 교육 세미나를 들었다. 예상인원보다 많이 적게 온 바람에 멘토분과 수강생 모두 괜히 뻘줌했었다. 그래도 소규모로 진행되었던 김에 멘토 분께서 여러 팁을 얹어주셨었다. 그 중 여러 기업이나 단체 등에서 사용하는 오픈소스 컨트리뷰션에 해커톤 등의 방식으로 참여하거나 평소에 기여해보는 것도 성장하기 좋은 기회라고 하셨던 기억이 났다. 덤으로 그걸 보고 헤드헌팅이 들어올 수도 있다는 꿀팁까지...그러다 ..